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MySQL
- Votifier
- 마인크래프트
- spigot
- bukkit
- howto
- 개발
- 애플
- 문제해결
- php
- NAS
- 아이폰
- 구글 지도
- 토렌트
- 블로그
- 마인리스트
- 시놀로지
- apk
- 맥
- 티스토리 초대장
- 삽질
- 클라우드플레어
- 해킹
- ruby
- 오류
- 티스토리
- Ruby on Rails
- 구글 지도 반출
- java
- 안드로이드
- Today
- 117
- Total
- 2,070,350
목록클라우드플레어 (5)
말똥이의 블로그
클라우드플레어는 각 지역별로 서버를 둬서 (엣지라 부른다) 사이트의 속도를 늘려주고, DDoS를 완화시켜주는 서비스이다. 많은 사이트들이 클라우드플레어를 쓰고 있다. 나도 최근 몇년간은 아주 좋게 잘 썼던 서비스이다.그런데 최근들어 갑자기 클라우드플레어가 급격하게 느려졌다. 왜 그런가 이유를 봤더니 한국 ICN 엣지(엣지는 가장 가까운 공항명을 이름으로 한다)에 연결이 안 되고 있던 것이다.대체 왜 이러는걸까? 이 문제에 대한 해답은 클라우드플레어 블로그 글에서 찾아볼 수 있었다. 우리나라는 아시아에서 가장 트래픽 가격이 비싼 두 나라에 속해 있다. 무려 유럽이나 북미에 비해 15배 더 비싸다. 또, 다른 나라들은 가격이 내려가는 추세인 반면 우리나라는 가격이 오르고 있다고 한다. 미래창조과학부의 전기통..
사실 구글 클라우드 일본 리전에서 마인리스트를 돌리기에도 충분하다. 성능도 그 어떤 서버 호스팅보다 좋고 안정적이고 네트워크 속도도 괜찮고. 다만 한가지 문제를 꼽자면 많은 마인크래프트 서버 호스팅 업체들이 해외 트래픽을 제한하고 있는 것이다. 마인리스트의 상태를 얻어오는 서버(핑서버라고도 부른다)가 일본에 있으니 해외 접속이 차단되면 서버가 꺼진걸로 뜬다. 이로써 서버 관리자도 머리 아프고 호스팅 관계자도 머리아프고, 그 아픔은 그대로 나에게 전달된다. 일주일에 수십통의 문의 메일. 한 절반은 해외 접속이 안되서 오는 메일이다. 처음에 이전하기로 검토한 클라우드 업체는 AWS였다. AWS는 최근에 한국 데이터센터도 오픈했고 뭔가 AWS니까 주는 안정감 같은게 있었다. (물론 가격은 빼고) 그러나 이곳도..
지난주에는 보안 이슈가 두 가지나 있었습니다. 우선 더 심각하다고 느껴지는 클라우드블리드에 관한 글입니다. 클라우드플레어는 CDN 업체입니다. 각각의 지역에 서버를 두고 자주 사용하는 파일(자바스크립트나 CSS 파일등)을 지역별로 캐시해 놓고 사용자가 요청하면 가장 가까운 서버에서 받아옴으로써 속도를 빠르게 해 주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각 지역별로 서버가 있다보니 디도스 방어 기능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물론 디도스 방어는 규모가 커지면 돈을 받습니다만 왠만한 소규모 디도스들은 무료로 다 막아줍니다. 다만 한국에서는 가장 가까운 ICN 서버를 사용하지 못해 빠르게 느끼지는 못합니다. 이 부분은 다음 포스팅을 통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이러한 기능 외에도 웹서버의 Rewrite 기능을 간단하게 대체할 수..
조만간 클라우드 플레어는 버려야 할듯. 속도가 느려져서 연결한 데이터센터 위치를 확인해 봤더니 LAX로 뜨더라.. 세상에... 서버는 대만에 있는데 클플은 미국으로 잡히니 대만에서 미국을 갔다가 한국으로 다시 가는거니 엄청난 시간 낭비이다. 서포트 센터에 문의해 보니 최근 트래픽 분배 방식을 바꿨다더라. 프리 유저와 프로 유저는 순위가 매우 낮아진듯 함. 엔터프라이즈 이상으로 올려야 서울 쪽에 붙는다더라... 서버 속도가 빨라지면 광고도 빨리 떠서 수익이 좀 늘어날지도 모르겠지만 그렇게 늘어봤지 얼마나 늘까. 어차피 구글 인프라니 디도스 걱정은 버리고 서버를 바로 구글 클라우드 부하 분산으로 연결하는 것도 나쁘지 않은 방법이라 본다. 직접 연결하면 150ms정도 나오니.. (지금은 거의 1초 ...) 나..
클라우드 플레어가 엄청난 일을 저질렀습니다. SSL 기능이 무료로 변경되었습니다. 클라우드 플레어 블로그에서 밝힌 바에 의하면, 이는 쉽지 않았다고 합니다. 첫번째로는 CPU 사용율입니다. HTTPS 연결은 HTTP 연결에 비해 CPU 자원을 더 많이 소모합니다. 이는 비효율적이죠. 두번째로는 IPv4이 고갈되었다는 것입니다. 한 아이피당 한 인증서를 만드는데, 클라우드 플레어의 수백만명의 이용자 모두에게 한명 한명 모두 발급해주기란 불가능합니다. 이에 대해서 클라우드플레어측은 해결책을 내놓았습니다. 최신 브라우저는 SNI라는 기능을 지원하여 한 아이피당 여러 사이트를 운영하는것이 가능하고, 자원을 적게 사용하는 ECDSA라는 SSL방식을 지원하기 때문에, 범용 SSL로 접속 가능한 브라우저를 최신 브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