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hub Codespaces(devcontainer)로 생산성 높이기
·
카테고리 없음
Codespaces란?Github Codespaces는 devcontainer를 호스팅해주는 Github의 서비스이다. Docker의 devcontainer를 사용하면 언제 어디서든 개발 환경을 클릭 한번으로 다시 구축할 수 있고, 접근도 간단하다. 개발 환경 구축을 설정과 도커 파일로 하기 때문에 하나 하나 따라하면서 머리 아플 일도 없다. 비슷한 서비스로는 cloud9, gitpod, codesanywhere 등이 있다.회사에서 신입 온보딩 시 거의 개발환경 구축에 하루가 넘게 걸리는데, 이 devcontainer를 사용하면 10분 내로 통일된 개발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실제로 devcontainer를 사용해서 신규 개발자 온보딩 시간을 단축한 사례들도 있다.사용 사례듀오링고의 개발자 온보딩 사례이다..
루비 온 레일즈 사이드프로젝트 Render 써서 빠르게 배포하기
·
카테고리 없음
사이드프로젝트를 만들 때 배포가 너무 귀찮았다. 어떻게 하면 루비 온 레일즈 프로젝트를 매우 빠르게 배포할 수 있을지 메모해 두고자 한다.기술 스택은 최대한 간단하게데이터베이스도 PostgreSQL만 두자. Redis 이런거 필요 없다. 단순하게 PostgreSQL만. Rails 최신 버전에서는 큐, 캐시, 웹소켓 모두 RDBMS 하나로 처리가 된다.자바스크립트 번들러도 importmap을 사용하자. webpack을 사용하는 순간 빌드 시간이 곱절로 늘어난다.PaaS 사용하기Heroku 같은 배포와 서버 운영을 알아서 해주는 플랫폼을 사용하자. 하나 개발할 때마다 DB 구축하고 쿠버네티스 설치하고 그런건 나중에 규모가 커지면 고려하면 된다.대충 정리해보면 이런 플랫폼들이 있다.HEROKUFly.ioRen..
UniFi Gateway 마이그레이션 방법
·
카테고리 없음
기존 장치에 로그인한다.콘솔과 Network application을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한다.Control Plane -> Backups에서 Back Up Now를 하고, Download를 눌러서 다운로드한다.(만약 기존 장비를 신규 장비 하위에서 쓰고자 하는 경우에는) DHCP를 끄고 아이피를 겹치지 않도록 조정해 준다. 새로운 장치의 WAN을 기존 장치의 LAN에 연결한다.설정 진행한다. (OS 설정이 잘 되는지 이 단계에서 검증)UI 계정으로 로그인한다.아무것도 복원하지 말것UniFi OS를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Control Plane -> Updates에서 Network Application이 기존 장치랑 버전이 동일한지 확인Control Plane -> Backups에서 Restore를 통해..
KT 인터넷의 해외망은 불안정하다.
·
카테고리 없음
필자는 KT 인터넷을 사용중이다. KT 인터넷은 해외망이 튼튼하고 안정적이라고 널리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최근 들어 그 명성이 무색해진 듯하다. 특히 아침과 밤 시간대에는 네트워크가 불안정해 자주 접속 문제가 발생한다.어떤 일이 있었나?작년 말부터 Cloudflare, Fastly 등의 CDN을 사용중이며 ICN 리전을 사용하지 않는 사이트에 접속할 때 로딩 시간이 비정상적으로 길어지는 현상이 나타났다. 예를 들어, 아침 시간대에는 트위터(Fastly 대만 리전)에서, 밤 10시 30분부터 새벽까지는 Cloudflare를 사용하는 해외 사이트 전반에서 접속 지연이 발생했다.과거에도 비슷한 문제가 있어 KT에 문의한 적이 있다. 당시에는 애플의 iOS 업데이트로 일본 특정 ISP 회선이 원활하지 않다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