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포트 포워드가 특정 포트를 전달해주는 방식이라면 DMZ는 모든 포트를 다 전달해주는 방식입니다. 거기에 더 나아가 Twin IP는 컴퓨터의 아이피를 외부 아이피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입니다.
우리는 학교 인터넷에 공유기를 설치하고자 합니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학교에서 와이파이존을 구축할 때에는 아래와 같은 절차를 거치죠.
- 컴퓨터의 아이피,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웨이, DNS 주소 적어놓기
- 인터넷 연결 설정에서 고정 IP 방식으로 바꾸고 적어놓은 것들을 입력하기
- 컴퓨터의 어댑터를 고정 아이피에서 자동으로 IP 주소 받기로 바꾸기
- 공유기에 인터넷을 연결하고 컴퓨터와 연결하기
그러나 위 과정에는 중요한 문제점이 있습니다. 만약 공유기가 고장나거나, 공유기를 제거해서 사용해야 할 경우 컴퓨터의 아이피 설정을 신속히 원상 복구하기가 어렵다는 것이죠. 인터넷이 제대로 되지 않아 선생님께 꾸중을 듣는 일은 없어야겠죠.
Twin IP를 이용하여 셋팅하기
- 컴퓨터의 아이피,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웨이, DNS 주소, 하드웨어 주소 (Mac Address) 적어놓기
- 인터넷 연결 설정에서 고정 IP 방식으로 바꾸고 적어 놓은 것들을 입력하기
- 고급 NAT 설정에서 아까 적어 놓은 하드웨어 주소로 Twin IP를 설정하기.
- 공유기에 인터넷을 연결하고 컴퓨터와 연결하기
이렇게 하면 컴퓨터의 설정을 변경하지 않아도 컴퓨터에서 인터넷을 할 수 있게 됩니다. 급하게 공유기를 빼고 바로 인터넷을 컴퓨터에 바로 연결시켜도 인터넷에 연결됩니다. 이제 마음 편하게 공유기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Twin IP 기능에 하드웨어 주소 변경 기능을 조합하면 하드웨어 주소 기반으로 네트워크 접속을 제어하는 경우에도 차단 우회가 가능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