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Fi Gateway 마이그레이션 방법
·
카테고리 없음
기존 장치에 로그인한다.콘솔과 Network application을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한다.Control Plane -> Backups에서 Back Up Now를 하고, Download를 눌러서 다운로드한다.새로운 장치의 WAN을 기존 장치의 LAN에 연결한다.설정 진행한다. (OS 설정이 잘 되는지 이 단계에서 검증)UI 계정으로 로그인한다.아무것도 복원하지 말것UniFi OS를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Control Plane -> Updates에서 Network Application이 기존 장치랑 버전이 동일한지 확인Control Plane -> Backups에서 Restore를 통해서 백업해 둔 파일 복원Unifi Devices 들어가보면 기존 장치들이 다 떠 있을 것임.기존 장치를 빼고 그 자리..
KT 인터넷의 해외망은 불안정하다.
·
카테고리 없음
필자는 KT 인터넷을 사용중이다. KT 인터넷은 해외망이 튼튼하고 안정적이라고 널리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최근 들어 그 명성이 무색해진 듯하다. 특히 아침과 밤 시간대에는 네트워크가 불안정해 자주 접속 문제가 발생한다.어떤 일이 있었나?작년 말부터 Cloudflare, Fastly 등의 CDN을 사용중이며 ICN 리전을 사용하지 않는 사이트에 접속할 때 로딩 시간이 비정상적으로 길어지는 현상이 나타났다. 예를 들어, 아침 시간대에는 트위터(Fastly 대만 리전)에서, 밤 10시 30분부터 새벽까지는 Cloudflare를 사용하는 해외 사이트 전반에서 접속 지연이 발생했다.과거에도 비슷한 문제가 있어 KT에 문의한 적이 있다. 당시에는 애플의 iOS 업데이트로 일본 특정 ISP 회선이 원활하지 않다는 ..
Unifi 장치에서 MTR, PING 시 loss가 발생하는 경우
·
카테고리 없음
기본적으로 Unifi 장치에서는 ICMP Packet의 ratelimit이 1초에 한번으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아래 설정을 10 정도로 작게 변경해주면 MTR 시 Packet Loss를 줄일 수 있다. sysctl net.ipv4.icmp_ratelimit# 기본값 1000sysctl net.ipv4.icmp_ratelimit=10
2024년식 LG 하이드로타워 2세대 후기
·
IT/리뷰
내돈내산 리뷰입니다.가을이 와서 가습기가 필요해졌다. 사실 작년에도 필요했는데, 공기질 센서의 미세먼지 수치가 폭증하는 현상과 청소가 귀찮은 점 두가지 때문에 안 샀었다.. 건조한 피부로 어찌어찌 버텼는데, 이번년도에는 꼭 사야겠다 싶어서 구매해 버렸다.미세먼지 수치가 폭증하지 않고, 청소를 적게 해도 되는 가습기를 찾으니까 LG 하이드로타워가 나왔다. 단점은 개비싼 가격. 하지만 LG 가전은 잘 고장나지 않기도 하고.. 공기청정기 기능도 있어서 사계절 내내 쓸 수 있기도 하고.. 뭐 가습기 1~2년 쓰고 버리는거도 아니니까.. 미세먼지 센서 폭증도 안하고... 목 아프고 감기 걸릴 바에 조금 투자한다 생각하고 구매했다. (셀프 가스라이팅) 2024년 11월 20일에 구매했고, 12월 2일에 도착했다.어..
날려 먹은 MySQL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을까?
·
Dev/삽질 방지
실수로 DROP DATABASE 쿼리를 입력하거나 WHERE문을 빼먹었다면 눈앞이 캄캄해질 것이다. 과연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을지 여부를 알아보자.복구 방법 등에 대해서는 본 글에서 다루지 않는다.우선 아래부터 확인해보자저장 방식이 하드디스크인지바이너리 로그가 켜져 있는지MySQL 버전이 8.4 이후인지백업 파일이 있는지바이너리 로그 방식바이너리 로그는 세가지 방식이 있다.STATEMENT: 쿼리만 저장.ROW: 변경된 Row의 정보까지 저장. MySQL 8.4 이후 기본값이다.MIXED: 일부 쿼리에만 ROW 방식으로 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고 이 옵션을 사용할 정도라면 이미 백업 자동화를 진행한 사용자일 것이므로 본 글에서는 설명하지 않음.복원 가능 여부하드디스크인 경우즉시 서버 전원을 강제 ..
PT-P950NW을 PoE로 물릴 수 있을까?
·
카테고리 없음
tl;dr가능하나 복잡하고 안 예쁘다.전제PT-P950NW는 24V 2.65A를 사용한다. W 기준으로 계산하면 63.6W의 전력이다.802.3bt PoE++PoE++은 보통 50~57V이며 최대 100W까지 지원된다. 이를 24V로 바꾸게 되면 약 4.17A이다. ( 100W / 24V = 약 4.17A )2.65A를 물릴 수 있다. PoE+(802.3at)도 가능하지 않을까 싶지만, 얘는 최대 30W까지라서 24V 기준 1.25A로 부족하다.PoE++ 스플리터한국에서는 PoE++를 지원하는 스플리터를 안 판다. 아마존에서 Procet사의 PT-PD208GBH-24 제품을 찾을 수 있었다. 그러나 터미널블럭이므로 DC 플러그도 같이 구매해서 끼워야 한다.https://www.amazon.com/PoE-..